• 2025. 3. 26.

    by. emeraldbreeze

    빈혈은 혈액 내 적혈구 또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원인에 따라 철 결핍성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등으로 나뉘며, 치료 방법도 다르다. 본 글에서는 빈혈 치료제의 종류와 특징, 작용 기전, 그리고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1. 빈혈 치료제의 종류 및 작용 기전

    (1) 철분제

    철분제는 철 결핍성 빈혈 치료의 기본적인 치료제로, 체내 철분 공급을 증가시켜 적혈구 생성에 도움을 준다.

    1) 특징 및 작용 기전

    철분은 헤모글로빈의 주요 구성 성분으로, 적혈구가 산소를 운반하는 데 필수적이다. 철분 결핍 시 적절한 양의 헤모글로빈을 합성할 수 없어 빈혈이 발생한다. 철분제는 부족한 철분을 보충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철분제는 크게 헴철(Heme iron)과 비헴철(Non-heme iron)로 나뉘며, 헴철은 동물성 식품에서 주로 얻어지는 형태로 흡수율이 높다. 반면, 비헴철은 식물성 식품에서 얻어지며 흡수율이 낮아 비타민 C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철분제는 화학적 형태에 따라 2가 철(Fe²⁺, Ferrous iron)과 3가 철(Fe³⁺, Ferric iron)로 나뉜다. 2가 철은 장에서 직접 흡수되므로 흡수율이 높지만 위장 장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반면, 3가 철은 위에서 산성 환경을 통해 2가 철로 변환된 후 흡수되며,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다.

    2) 종류

    • 경구용 철분제:
      • 2가 철(Fe²⁺) 제제: Ferrous sulfate(훼로바유서방정), Ferrous fumarate, Ferrous gluconate(훼럼포)
      • 3가 철(Fe³⁺) 제제: Ferric hydroxide-polymaltose complex(헤모콤, 훼로맥스), Ferric pyrophosphate(페리세라)
    • 정맥주사용 철분제:
      • Ferric carboxymaltose(페린젝트주)
      • Ferric derisomaltose(Iron isomaltoside, 모노퍼주)
      • Iron sucrose(베노훼럼주)

    빈혈 치료제의 종류(철분제, 비타민 B12, 엽산)와 흡수율 높이는 법

    3) 부작용

    철분제 복용 시 위장장애(구역, 복통, 변비)가 발생할 수 있으며, 철분 과다 섭취는 철 과부하로 인한 조직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2) 비타민 B12

    비타민 B12는 거대적아구성 빈혈(악성 빈혈)의 치료에 사용되며, DNA 합성과 적혈구 성숙 과정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1) 특징 및 작용 기전

    비타민 B12는 골수에서 적혈구 형성을 촉진하며, 신경 세포 유지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에서 비타민 B12가 부족하면 적혈구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하고 크기가 커지면서(거대적아구성) 기능이 저하된다.

    2) 종류

    • 경구제: Mecobalamin(엠코발), Cyanocobalamin(고가이큐)
    • 주사제: Hydroxocobalamin(라노빈주)

    3) 부작용

    비타민 B12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부작용이 적지만, 드물게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3) 엽산

    엽산은 DNA 합성과 세포 분열에 필수적인 비타민으로, 엽산 결핍성 빈혈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1) 특징 및 작용 기전

    엽산은 비타민 B12와 함께 적혈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세포 분열이 빠르게 일어나는 조직(골수, 장 점막)에서 필수적이다. 엽산이 부족하면 적혈구가 정상적으로 성숙하지 못해 거대적아구성 빈혈이 발생한다.

    2) 종류

    • 경구제: Folic acid(폴시드), Levomefolic acid
    • 주사제: Folinic acid(폴리나인주)

    3) 부작용

    고용량 엽산 복용 시 비타민 B12 결핍을 가릴 수 있으며, 장기 복용 시 신경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2. 빈혈 치료제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

    (1) 철분제의 흡수율 높이는 법

    • 공복에 복용: 음식물과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아침 공복에 복용하는 것이 좋다.
    • 비타민 C와 함께 복용: 비타민 C는 철분의 흡수를 촉진하므로 오렌지 주스나 비타민 C 보충제와 함께 복용하면 좋다.
    • 칼슘과 동시 복용 피하기: 우유, 치즈, 칼슘 보충제는 철분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다.

    (2) 비타민 B12의 흡수율 높이는 법

    • 위장 건강 유지: 비타민 B12는 위에서 분비되는 내인성인자(intrinsic factor)와 결합하여 흡수되므로, 위 건강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위산 억제제 사용 시 주의: 장기적인 위산 억제제(PPI, H2 차단제) 사용은 비타민 B12 흡수를 저하시킬 수 있다.

    (3) 엽산의 흡수율 높이는 법

    • 음식과 함께 복용: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이므로 음식과 함께 복용해도 좋다.
    • 알코올 섭취 제한: 과도한 알코올 섭취는 엽산 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

    3. 빈혈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1) 균형 잡힌 식사

    •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비타민 C 등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합니다. 철분은 고기, 생선, 계란, 간 등 동물성 식품에서, 비타민 B12는 육류와 어패류에서, 엽산은 시금치와 같은 녹색 채소에서, 비타민 C는 과일과 신선한 채소에서 얻을 수 있다.
    • 세끼를 제때에 골고루 먹는 습관을 들입니다. 다이어트 중이라도 끼니를 거르지 않고 적당한 양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다.

    (2) 철분 흡수 방해 요소 피하기

    • 탄산음료, 커피, 홍차 등은 철분 흡수를 방해하므로 식사 직후 1시간 이내에는 섭취하지 않는다.
    • 술은 비타민 B12와 엽산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3) 생활습관 개선

    •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빈혈을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할 수 있다.
    • 규칙적인 운동과 충분한 수면도 전반적인 건강에 도움이 된다.

    (4) 영양 보충

    • 필요에 따라 철분, 비타민 B12, 엽산 보충제를 고려할 수 있다.
    • 특히 채식주의자나 철분 결핍이 의심될 경우 보충제가 도움이 될 수 있다.

     

    4. 결론

    빈혈 치료제는 철분제, 비타민 B12, 엽산으로 나뉘며, 각각의 특징과 작용 기전이 다르다. 철 결핍성 빈혈에는 철분제가, 거대적아구성 빈혈에는 비타민 B12와 엽산이 필수적이다. 올바른 복용법과 함께 흡수율을 높이는 방법을 실천하면 효과적인 빈혈 치료가 가능하다. 적절한 치료와 영양 관리로 건강한 혈액 생성을 돕는 것이 중요하다.